w

MD5 해시 계산기

MD5 해시 계산기를 시작하여 텍스트와 파일의 MD5 해시값을 쉽게 생성하고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합니다.

MD5란 무엇인가요?

MD5(Message Digest Algorithm 5)는 1991년 Ronald Rivest에 의해 설계된 널리 사용되는 암호 해시 함수입니다. 임의의 길이 데이터를 고정 길이(128비트, 즉 16바이트) 해시값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MD5의 특징

  • 고정 길이 출력: 입력 데이터의 길이에 관계없이 MD5는 항상 128비트(16바이트) 출력을 생성
  • 눈사태 효과: 입력의 미세한 변화가 출력의 큰 변화를 야기
  • 단방향성: 해시값에서 원본 데이터를 역산할 수 없음
  • 충돌 저항성: 이론적으로는 같은 해시값을 생성하는 두 개의 다른 입력을 찾기 어려움

MD5의 응용 시나리오

  1. 데이터 무결성 검증: 파일이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았는지 검증
  2. 비밀번호 저장: 사용자 비밀번호의 해시값 저장(주의: 현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더 안전한 알고리즘 사용 권장)
  3.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의 일부로 사용
  4. 파일 중복 제거: 해시값을 통한 중복 파일의 빠른 식별

MD5 알고리즘 원리

알고리즘 단계

  1. 패딩: 입력 데이터를 512비트의 배수로 패딩
  2. 초기화: 4개의 32비트 레지스터(A, B, C, D) 설정
  3. 메인 루프: 4라운드 처리 수행, 각 라운드 16단계
  4. 출력: 4개 레지스터의 값을 연결하여 128비트 해시값 생성

수학적 기초

MD5는 다음 수학 연산을 기반으로 합니다:

  • 모듈로 연산(mod 2^32)
  • 비트 연산(AND, OR, XOR, NOT)
  • 순환 좌측 시프트
  • 비선형 함수(F, G, H, I)

인코딩 형식

지원되는 인코딩 형식

  1. UTF-8: 가장 일반적인 Unicode 인코딩 형식
  2. ASCII: 7비트 문자 인코딩
  3. UTF-16: 16비트 Unicode 인코딩
  4. UTF-32: 32비트 Unicode 인코딩
  5. GBK: 중국어 인코딩 형식
  6. ISO-8859-1: 서유럽 언어 인코딩

출력 형식

  1. 소문자 16진수: d41d8cd98f00b204e9800998ecf8427e
  2. 대문자 16진수: D41D8CD98F00B204E9800998ECF8427E
  3. Base64: 1B2M2Y8AsgTpgAmY7PhCfg==

마지막 업데이트: 2024년 1월 20일

Was this page helpful?